파이썬 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: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법

파이썬 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: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법

이번 글에서는 파이썬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리스트의 데이터에 접근하고 원하는 부분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.

리스트 인덱싱

인덱싱은 리스트의 각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입니다. 리스트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며, 음수 인덱스를 사용하여 리스트의 끝에서부터 접근할 수도 있습니다.

예시

numbers1 = [10, 20, 30, 40, 50]
print(numbers1[0]) # 출력: 10
print(numbers1[2]) # 출력: 30
print(numbers1[-1]) # 출력: 50
print(numbers1[-3]) # 출력: 30

numbers2 = [10, 20, [30, 40], 50]
print(numbers2[2]) # 출력: [30, 40]
print(numbers2[2][0]) # 출력: 30
print(numbers2[-2][1]) # 출력: 40

실행 결과

리스트 인덱싱 예시 실행 결과 화면입니다.

리스트 슬라이싱

슬라이싱은 리스트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. 시작 인덱스와 끝 인덱스를 콜론(:)으로 구분하여 표현합니다. 끝 인덱스는 포함되지 않습니다.

예시

numbers = [10, 20, 30, 40, 50]
print(numbers[1:4]) # 출력: [20, 30, 40]
print(numbers[:3]) # 출력: [10, 20, 30]
print(numbers[3:]) # 출력: [40, 50]
print(numbers[:]) # 출력: [10, 20, 30, 40, 50]

numbers2 = [10, 20, [30, 40, 50]]
print(numbers2[1:]) # 출력: [20, [30, 40, 50]]
print(numbers2[2][1:]) # 출력: [40, 50]
print(numbers2[2][:]) # 출력: [30, 40, 50]

실행 결과

리스트 슬라이싱 예시 실행 결과 화면입니다.

슬라이싱에서 인덱스 생략

슬라이싱에서 시작 인덱스와 끝 인덱스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. 시작 인덱스를 생략하면 0부터 시작하며, 끝 인덱스를 생략하면 리스트의 끝까지 추출합니다.

예시

numbers = [10, 20, 30, 40, 50]
print(numbers[:3]) # 출력: [10, 20, 30]
print(numbers[3:]) # 출력: [40, 50]

실행 결과

슬라이싱에서 인덱스 생략 예시 실행 결과 화면입니다.

음수 인덱스 사용하기

음수 인덱스를 사용하여 리스트의 끝에서부터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음수 인덱스를 사용하면 끝에서부터 원하는 요소를 쉽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.

예시

numbers = [10, 20, 30, 40, 50]
print(numbers[-3:]) # 출력: [30, 40, 50]
print(numbers[:-2]) # 출력: [10, 20, 30]

실행 결과

음수 인덱스 사용하기 예시 실행 결과 화면입니다.


☞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활용하면 리스트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추출하고 조작할 수 있습니다. 다음 글에서는 리스트의 추가, 삭제, 수정 등 다양한 연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참고 자료

함께 보면 좋은 이전 게시글

위로 스크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