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에서 숫자 다루기: 숫자형 자료형과 연산자
파이썬은 다양한 종류의 숫자형 자료형과 연산자를 제공하여 숫자 데이터를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숫자형 자료형과 기본적인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숫자형 자료형 종류
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숫자형 자료형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.
1.1 정수형 (int)
정수형 자료형은 양의 정수, 음의 정수 및 0을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.
▼ 예시
a = 10
b = -5
c = 0
1.2 실수형 (float)
실수형 자료형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.
▼ 예시
a = 3.14
b = -0.5
c = 1.0
1.3 복소수형 (complex)
복소수형 자료형은 복소수를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. 파이썬에서는 허수부를 나타내기 위해 ‘j’ 또는 ‘J’를 사용합니다.
▼ 예시
a = 3 + 4j
b = -2 - 3J
2. 숫자형 연산자
파이썬에서 숫자형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산자는 다음과 같습니다.
2.1 사칙연산
덧셈(+), 뺄셈(-), 곱셈(*), 나눗셈(/) 등의 기본적인 사칙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▼ 예시
a = 10
b = 3
result1 = a + b # 13
result2 = a - b # 7
result3 = a * b # 30
result4 = a / b # 3.3333333333333335
2.2 나머지 연산 (%)
나머지 연산자(%)를 사용하여 두 수의 나머지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.
▼ 예시
a = 10
b = 3
result = a % b # 1
2.3 제곱 연산 (**)
제곱 연산자(**)를 사용하여 거듭제곱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.
▼ 예시
a = 2
b = 3
result = a ** b # 8 (2의 3승)
2.4 몫 연산 (//)
몫 연산자(//)를 사용하여 두 수를 나눈 몫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.
▼ 예시
a = 10
b = 3
result = a // b # 3
▼ 결과 화면

함께 보면 좋은 게시글
- 파이썬 주석 처리 방법: 한 줄 주석과 여러 줄 주석
- 파이썬에서 문자열 다루기: 기본 개념과 포매팅 방법
- 파이썬에서 데이터 타입 변환하기: int(), float(), str() 함수 사용법
- 파이썬 math 라이브러리: 기본 수학 함수와 상수
- 파이썬 random 라이브러리: 난수 생성과 관련 함수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유 부탁 드립니다.